Surprise Me!

[뉴스라이더] 부동산 시장 역대급 한파...청약시장도 칼바람 / YTN

2022-12-20 223 Dailymotion

■ 진행 : 안보라 앵커 <br />■ 출연 :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라이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추운 날씨만큼이나 부동산 시장에도 역대급 한파가 찾아왔습니다. 98년 외환위기 이후, 가장 극심한 침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.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과 함께 전망해 봅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[윤지해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추운데 잘 오셨습니까? <br /> <br />[윤지해] <br />많이 춥네요. <br /> <br /> <br />오늘 날씨만큼이나 시장도 정말 춥네요. 그런데 요즘 깡통전세, 전세사기 이런 뉴스 저도 많이 전하거든요. 결국 집값이 떨어진 게 큰 이유라고 봐야 됩니까? <br /> <br />[윤지해] <br />지난 1년을 돌아보시면 우리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들을 봤잖아요. 거기서도 왜곡이 굉장히 많이 일어나고요. 지금처럼 급격하게 하락을 하게 되면 시장에서도 상당히 이렇게 역전세 같은 그런 왜곡들이 일어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저희가 부동산 시장 얼었다, 얼었다, 이렇게 표현했는데 수치를 보니까 1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아파트 값이 4.79%가 하락했습니다. 이게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건데 시세 조사한 이후로 가장 큰 하락폭이라고 합니다.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세요? <br /> <br />[윤지해] <br />원인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. 크게 봐서는 세 가지인데 일단 첫 번째는 이미 아시는 것처럼 급격하게 금리가 인상이 된 부분 하나가 있었고요. 그리고 추가적으로 정부가 지난해 10월에 대출규제, 그러니까 DSR이라고 하는 총부채원리금상환규제를 도입하다 보니까 아무래도 유동성이 축소되는 이슈가 있었고요. 거기에 최근 한 5년 사이에 많이 오르지 않았습니까? 그러다 보니까 수요자들이 가격에 대한 저항감이 커졌다, 이렇게 세 가지 이유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가격 말씀해 주셔서요. 지역 보니까 세종, 대구, 수도권의 하락폭이 크더라고요. 이런 지역들은 지난해 상승폭이 컸던 지역인데 이게 과도한 급락인지 아니면 좀 거품이 빠진다고 표현해야 할지, 어떻게 전망하세요? <br /> <br />[윤지해] <br />일종의 되돌림이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. 예를 들어서 세종시 같은 경우는 2020년에만 40~50%가 올랐습니다. 일반적으로 부동산은 연간 10%만 올라도 굉장한 급등세입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도권도 지난해 2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22008565084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